메뉴 닫기

1-13-7 설치전 준비사항

Pre-installation Tasks

7.1 計測制御部의 設置前 準備事項 (Instrument & Controls Department Pre-installation Tasks)

어떤 장비의 설치장소 및 방법에 대해 아는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우선 제작사로 문의하게 되는데, 어떠한 경우에도 대부분의 사전작업은 사용자측 직원이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일은 여러 관련 부서 직원들이 협조를 해야한다. 그러므로, 이 일에 주요 책임을 갖는 3개 분야로 나눈다.

• 계측제어 분야

• 전기 분야

• 기계 분야

이 일은 제어 분야의 계획과 동참하는 다른 분야의 협조가 필요하다. 담당자가 해야할 첫째 작업은 설치될 모든 장비를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다.

7.1.1 財物調査 (Inventory)

제작사에서 온 Packing목록과 주문 서류의 목록을 비교하여 내용물에 대한 완벽한 재물조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손상되었거나 누락된 장비가 있을 경우, 즉시 제작사에 통보한다. 선적 손상이 확실한 경우에는 운송자에게 보상 청구서를 제출하고, 그 사본을 제작사로 송부한다. 장비와 함께 포장된 Manual에서 설치에 관한 부분을 읽어보고, Rack이 설치될 장소에 대한 점검을 하기 위한 표시를 한다. 이 표시를 일지에 기록한다. 그런 다음 Monitor에 관한 부분을 살펴본다. 이 부분은 Monitor의 감시 대상 및 변환기를 설치할 기계의 부위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갖도록 할 것이다. 각 부분을 읽을 때, 이 계통을 종이 위에 결합해 본다. 마음속으로 그 계통을 설치하고 수행에 필요한 물품들을 찾아본다.

7.1.2 現場點檢 (Site Check)

재물목록과 서류상의 계획 초안을 가지고 현장으로 가서 목록을 들고 자재를 점검한다. 일반적으로 꼭 필요한 수량보다 많은 수량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 여분의 수량은 예비품이다. 예비품이 없는 경우에는 계약 내용 및 그와 관련한 사항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개 기계의 부품들은 이미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품에 대하여 고유 번호(Part Number)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재물 목록과 비교하여 확인한다. 필요에 따라 카메라를 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음에 예를들어 TBN에 대한 진동 Probe를 설치할 경우, 두 개의 Probe를 설치할 수 있도록 측정하고 하고자 하는 각각의 Bearing 위치를 선정하고, 설치 방법을 결정한다. 선정된 기계 위치에 유동물질을 제거하고, 축의 표면이 Probe 설치에 적합한지를 관찰한다. 공작실(Machine Shop)에 설치공사에 필요한 Bracket 가공에 관한 사항을 기록해 둔다.

• 기계 관련 도면 또는 사진

• Target Area

• Bracket 가공

7.1.3 Rack 位置 (Rack Location)

이제 제어실에서 Monitor Rack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지침서에서 설치에 관한 부분을 살펴본다. 이 지침서에는 Monitor Rack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공간이 명시되어 있다. 기존의 설비가 제거된 제어 패널 부분을 조사한다. 새로운 장비를 설치하기 전에 더 해야할 일을 검토하고, 필요한 내용들에 대하여 정리하여 기록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협조 부서 직원들과 연락을 취한다. 전기분야는 현장 케이블을 포설할 것이다. 이미 결정된 사항을 명확히 이해하고 계통이 설치될 장소를 알면 다음 단계에 도움이 된다. 적어도 위해 지역은 아닌지를 검토한다. 일은 함께 시작하고, 현장배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기존에 사용되었던 전선의 재사용을 원치 않으면 새로운 전선의 포설이 필요하게 된다. 위치, 거리, 감시할 지점에 관해 기록해 둔다. Proximitor 외함 설치와 관련한 사항을 기록한다.

7.1.4 豫備計劃 (Preliminary Plans)

해당계통에 관한 대강의 서류를 가지고 계획을 수립한다. 기계의 감지할 부분과 적합한 Monitor를 일치시킨다. 기기를 설치함으로써 활용코자 하는 정보에 대해 관련자 전원이 이해하도록 한다.

7.1.5 試驗裝備 (Test Equipment)

예비 계획까지 수립하고 나면 시간적 여유를 갖게 되며 Monitor와 함께 사용할 선택사양을 결정하게 된다. 공장에서 설치되어야 할 선택 사양을 점검한다. Trip Multiply가 이에 속한다. 해당 Monitor의 전체 눈금값(Full Scale Range)을 결정한다. 경험에 의한 대강의 기준은 축 직경 1인치에 대해 1½ ~ 2 mils의 진동이다. 여기까지의 검토가 완료된 시점이 기계 부분 담당 직원과 상의하고, 기계의 형식에 따라 예측되는 진동준위의 극한값(Extremes)을 찾기에 좋은 시점이다.

• 경보(Annunciator)

• 기록계

• 시험 및 동작 확인 장비

• 특성 곡선(Curves)

이제 장비가 작동중임을 확인했으면 이 특성 곡선들을 확인하고 기계의 각 부분을 해당 구역에 넣는다. 이 과정을 빨리 할수록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즉, 이렇게 함으로써 터빈 Deck에서 Curve가 운용되는 것을 점검할 필요가 없게 된다. 기계가 조립되는 동안 Probe를 설치, 간격을 조정하고 동시에 특성 곡선을 점검하고 모든 문서를 처리한다.

7.2 電氣部 (Electrical Department)

7.2.1 電氣的인 作業事項 (Electrical Work)

배선공정을 수립한다. 제작사에서 추천하는 구역 구분방식이 무난하다. 고온부는 고려해야 할 사항 중의 하나이다. 기기가 정지될 경우, 그 기기가 On-Line 상태에 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려해 보도록 한다. 배선이 노출된 부분은 보호가 필요하므로 목록에 Flexible과 Rigid Conduit를 나열하도록 한다.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 주변에 증기관의 존재 유무, 움직이는 부분의 유무, 기계 외함을 통과해야만 하는 부위의 유무 등을 기록해 둔다. 마음속으로 가상하여 기계를 재조립해 보고 생각이 미치지 않은 부분이 있을 경우, 그것을 명확히 하도록 한다.

7.2.2 考慮項目 (Consideration List)

• 소요 전선량

• 고온 지역

• 움직이는 부분

• Flexible Conduit

• 강관 (Rigid Conduit)

• 배선용의 기계 관통부

• 부착 방법(Fittings)

• 기타

7.2.3 配線工程 (Wire Schedule)

모든 전선은 제작사에서 추천하는 규격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전기부 담당자에게 전선 목록을 보내주며 전기부에서는 그 사양을 기초로 하여 소요 전선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Rack의 설치 예정시기를 전기부에 알려줌으로써 적시에 해당설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각 구간별 점검을 실시하고, 동작상태를 확인해야 하고 기존의 기록계와 경보창 중에서 남아있는 Point의 양과 사용할 수 있는 양, 새로운 계통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점검용 기록을 하는 것이 좋다.

7.3 機械部 (Mechanical Department)

7.3.1 機械部 作業 協助事項 (Machine Shop & Mechanical Work)

기계작업에 관한 계획을 수립한다. 자체 수행여부(외주)를 결정한다. 그 일을 수행할 기술자가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Bracket Configuration용 작업실 도면을 정밀 조사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Bracket과 위치 중 다시 사용할 것이 있는가를 검토하고 배선공정을 수립하고 기계 외함 관통이 필요한 곳을 확인한다. 기계부와 협의하고, 기계부의 의견과 본인이 제시한 Probe의 위치에 맞춰본다. 기존의 위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계부 담당자에게 알리고, 별도의 의견이 있는지 확인한다. X-Y Proximity Probe가 외함에 장착되는 속도 Sensor와 교체될 때는 위치를 완전히 변경해도 좋다. 또한 기계 전문가의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다. Rack의 규격을 이용하여 Rack 설치용 패널의 단면도를 제공토록 한다. Rack이 설치될 지역을 조사한다.

7.3.2 機械 專門家의 參與 (Machinery Representative Involvement)

설치와 관련한 의도 및 기계 내부의 설치 장소 등 모든 사항을 기계부 직원에게 가르쳐준다. 기계부 직원은 그 기계와 관련한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목록을 면밀히 조사하고, 제작사 담당자와 확인토록 한다. 기계 전문가에게 작성한 목록을 검토하도록 하고, 의견을 반영토록 한다.

7.4 點檢目錄 (Checklist)

(1) Project Coordinator

① 작업부문 : 계측제어부, 전기부, 기계부(기계 전문가 포함)

② 작업진행 : 촬영, 문서처리

(2) 제어부 작업사항

① 재물조사 : 송장 확인, 손상 및 유실여부, 예비품

② 설치 : Rack과 Monitors, 변환기(내․외부 위치, 명명, Conventions), 외함, 증빙서류

③ 성능 확인 : Monitors, 변환기 특성곡선, 증빙서류

④ 기록계류

⑤ 경보기

(3) 전기부 작업사항

① 현장 배선 시공

② Conduit 시공 : Flexible, 비도전성, Rigid

③ 외부 설비와의 접속

④ 설비에의 전원 공급

(4) 기계부 작업사항

① Bracket 조립 / 패널 제작

② 용접

③ 정밀가공 (Drilling과 Tapping) : 베어링 덮개, 전선의 밀봉 구멍

(5) 기계 전문가

7.5 設置 (Installation)

(1) 진행사항 전달 등의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모든 관계자가 진행상황을 파악하고, 잘못되었거나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전에 조치토록 한다. 공정계획을 따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상황을 공개하도록 해야한다.

(2) 관리자와 상의하도록 한다.

다음의 진행을 위해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모든 관련자에게 수행코자 하는 내용과 작업에 필요한 장소를 알려준다. 설치 공정 중 발생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은 담당자가 자리를 비운 시기에 Probe 위치가 기계 내부에 함몰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미리 지침을 정해 두는 것이 좋다.

(3) 지속적으로 감독해야 한다.

여러 공사가 벌어지는 경우 계속 이동하면서 감독해야 한다. 한 기계의 Thrust Probe들을 보고 있는 동안 Keyphasor 위치는 다른 기계에서 묻혀지게 된다. 한 기계에 대해 작업을 하는 경우라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 수정사항은 반드시 기록하도록 한다.

이러한 자료가 가치 있는 것이며, 본인은 물론, 일련의 작업을 수행해야 할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될 것이다. 현장기록은 무한한 가치가 있으며, 작업일지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작업이 끝난 후에는 처리한 일의 미세한 사항 전부를 기억하기는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